본문 바로가기

교수진

교수진소개

교수진소개

제주대학교 독일학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박여성(Park,Yo-Song) 교수

  • 세부전공

    텍스트기호학 매체이론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1320
  • 전화/국제전화754-2747/82-64-754-2747
  • 이메일pys1006@jejunu.ac.kr
  • 홈페이지https://ifdk.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고려대학교 독어독문학과(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
독일 뮌스터 대학교 언어학과(박사)
고려대학교 박사후 과정(Post Doc.)

주요경력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등 강사
제주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제주대학교 독일학과 교수
제주대학교 스토리텔링학과 교수
독일 뮌스터 대학교 초빙교수
한국기호학회 회장 역임

주요논문

1. 괴델-에셔-바흐 : 영원한 황금노끈 (역서)
2. 응용문화기호학
3. 기능주의 번역의 이론과 실제
4. 논문: 브랜드기호학의 체계이론적 정초 외 50여 편

+-

김맹하(Kim,Maeng-Ha) 교수

  • 세부전공

    독일문학(드라마)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1306
  • 전화/국제전화754-2744/82-64-754-2744
  • 이메일mah2001kim@jejunu.ac.kr
  • 홈페이지https://ifdk.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제주대학교 독어독문학과(학사)
서강대학교 독어독문학과(석사)
독일 지겐 대학교 독어독문학과(박사)

주요경력

서강대, 탐라대, 제주대 강사
제주대학교 독일학과 교수

주요논문

+-

임춘택(Lim,Chun-Taek) 교수

  • 세부전공

    독일 문학교수법, 창의적 글쓰기 교육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1404
  • 전화/국제전화064-754-2741/82-64-754-2741
  • 이메일lct@jejunu.ac.kr
  • 홈페이지https://ifdk.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한신대학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문학사)
서강대학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문학석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과(교육학박사)

주요경력

한신대, 서울대, 안양대, 안동대 등 강사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객원연구원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부교수

주요논문

1.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지도, F. 카프카의 『변신 Die Verwandlung』을 글쓰기 자극제로 한 수업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2. 이야기로 치료하기, 어느 조현병 질환자의 환각세계를 그린 세바스찬 피첵의 소설 『테라피 Die Therapie』
3. 교육과 치료로서의 문학행위에 관한 질적 연구, 은유적 이야기 교육과 치료 모임 사례를 중심으로
4. 독일어권 글쓰기 교육에 관한 연구

+-

신종락(Shin,Jong-Rak) 부교수

  • 세부전공

    독일문학, 망명문학, 출판 미디어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1204
  • 전화/국제전화064-754-2742/82-64-754-2742
  • 이메일jongrak132@jejunu.ac.kr
  • 홈페이지https://ifdk.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성균관대학교 독어독문학 (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독일 카셀 대학교 독어독문학 (박사)

주요경력

성균관대, 중앙대, 동국대, 가천대 등 강사
성균관대 정보관리연구소 전임연구원
성균관대 독일어권사회문화연구소 연구원
한국출판학회 상임이사
한국독어독문학회 이사
한국독일언어문학회 출판상임이사
서울시 지역서점위원회 위원

주요논문

≪단독 저서≫
2024, 『유럽 사회와 문학』, 산과글
2020, 『독일 출판을 말하다』, 산과글
2014, 『진화하는 출판문화』, 산과글
2010, 『독일의 문학과 출판』, 시간의물레
2009, 『한국과 독일의 출판문화 산업』, 시간의물레
2008, 『Selbstverlag im literarischen Leben des Exils in den Jahren 1933-1945』, Sequenz
2008, 『해외서점과 출판』, 시간의물레


≪공동저서≫
2023, 『미디어 문해력의 힘』, 유아이북스
2020, 『(문학과 예술에서) 재난을 말하다』, 산과글
2020, 『기생충』, 연극과인간
2019, 『인문학과 인문 교육』, 에디투스
2017, 『유럽의 경제와 문화 : 유럽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산과글
2012, 『한국출판산업사』, 한울
2011, 『동과서 마주보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0, 『전자책의 출현과 문학적 패러다임의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7, 『서점의 출판 유통』, 한국서점조합연합회

≪논문≫
「인공지능 시대에 호문쿨루스와 프랑켄슈타인 피조물을 통해서 본 근대 과학자의 욕망」, 『독어독문학』 (2024)
「괴테의 『파우스트』에 나타난 자본주의와 산업화 비판」,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2024)
「하인리히 하이네와 출판인 율리우스 캄페 - 경제적 문제와 정치적 검열을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2024)
「테오도르 폰타네의 『제니 트라이벨 부인』에 나타난 교양 시민과 유산 시민 대립 구조」, 『독일현대문학』 (2023)
「작가와 출판인 갈등 연구 - 헤르만 헤세와 피셔 출판사 그리고 주어캄프 출판사」, 『독어독문학』 (2022)
「헤르만 헤세와 출판인 사무엘 피셔 연구」, 『독일언어문학』 (2022)
「헤세의 음악 소설「게르트루트」에 나타난 예술적 삶 연구」, 『독일어문학』 (2022)
「독립서점과 지역 중소형서점의 운영 전략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2021)
「유럽의 생태주의 흐름과 괴테의 자연관」, 『인문과학』 (2021)
「괴테와 출판인 연구」, 『독일어문학』 (2021)
「지역 소형서점 유통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2020)
「망명 작가 엘제 라스커-쉴러와 자가 출판」, 『세계 역사와 문화연구』 (2020)
「『파우스트』에 나타난 대립구도를 통한 인간 욕망 비판」, 『인문과학』 (2020)
「독일과 터키의 경계에서 - <매운 소스를 곁들인 한스 하나>라는 영화를 중심으로」, 『뷔히너와 현대문학』 (2018)
「터키인의 독일 이주와 정체성 문제-<나의 가족, 나의 도시(Almanya-Willkommen in Deutschland)> 라는 영화를 중심으로-」, 『인문과학』 (2018)
「유대인 간의 차별과 협력 - 망명 독일 유대인의 자서전에 나타난 체험을 중심으로」, 『헤세연구』 (2017)
「레싱의 눈에 비친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특성과 종교적 변화-드라마 『현자 나탄』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2017)
「중세 유럽 학문 형성에 영향을 끼친 이슬람 문명」, 『독일어문학』 (2016)
「Die Problematik der Erinnerung und Vergessenheit deutscher ju?dischen Emigranten」, 『독일언어문학』 (2016)
「자서전에 나타난 기억의 문제- 에르네스트 헤프너의 『망명지 상하이』 연구」, 『독어교육』 (2015)
「상하이로 망명한 독일어권 유대인의 망명드라마와 공연」, 『뷔히너와 현대문학』 (2015)
「편견으로 점철된 반유대주의가 불러온 재난-나치 수용소 생존자 롤프 크랄로비츠의 수기를 중심으로-」, 『인문과학』 (2015)
「미국으로 망명한 독일작가들의 망명 문화 공동체」, 『독어교육』 (2014)
「파우제방의 『구름』에 나타난 재난서사와 국가권력」, 『뷔히너와 현대문학』 (2014)
「한국 현대 출판유통 환경변화 연구 : 1960년대-200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2014)
「나치시기 독일 망명문학에 나타난 반유대주의- 페르디난트 브루크너의 인종을 중심으로」, 『독일문학』 (2014)
「소셜미디어 사회에서 무명작가가 베스트셀러 작가로 - 독일 여성작가 넬레 노이하우스와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013)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의 수용과 다중매체 활용(원소스멀티유즈)」, 『뷔히너와 현대문학』 (2013)
「클라이스트의 <칠레의 지진>에 나타난 대립구도」, 『인문과학』 (2013)
「전자책과 인터넷 글쓰기로 인한 문학 패러다임의 변화와 영향」, 『코기토』 (2012)
「문학작품에 나타난 진실의 재구성 - 하인리히 뵐의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에 나타난 언론과 공권력 폭력에 관한 문제」, 『독일언어문학』 (2011)
「한국에서 서양으로의 인쇄문화 전파 -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독일어문학』 (2011)
「한국출판시장에서 독일문학수용 - 2000년대 이후 출간된 소설을 중심으로」, 『뷔히너와 현대문학』 (2010)
「금융위기 시기에 독일출판 문화산업의 동향과 전망」, 『독어교육』 (2009)
「18세기 독일문학시장의 작가, 출판인 그리고 독자」, 『독일문학』 (2009)
「어린이책 출판동향에 관한 연구-출판 유통과 마케팅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2009)
「독일 청소년의 독서실태 및 독서환경」, 『독일언어문학』 (2009)
「한국과 독일 출판물 소개와 저작권 교역」, 『독일어문학』 (2008)
「Das Drama Sauspiel von Martin Walser und die Gesellschaft der 60er und 70er Jahre」, 『독일문학』 (2008)
「독일 나치망명시기 지식인의 문학적인 삶과 출판가로서의 작가 - 자가출판을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2007)
「독일 출판산업의 동향과 전망」, 『한국출판학연구』 (2007)
「독일 나찌망명시기의 출판상황과 망명출판사」, 『뷔히너와 현대문학』 (2007)

+-

정태흥(CHUNG, Tae-Hung Dorian) 부교수

  • 세부전공독일어권 지역학 / 독일어권 문화 / 기초독일어 회화 / 중급독일어 회화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1414
  • 전화/국제전화064-754-2745/82-64-754-2745
  • 이메일cth@jejunu.ac.kr
  • 홈페이지https://ifdk.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 학사: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B.A
- 석사: 국립 한국해양대학교 국제지역학과 유럽학/M.A
- 박사: 국립 한국해양대학교 국제지역학과 유럽학/PhD
- 석사: University of Vienna/Austria(European Studies)/M.E.S.
주요경력 - 부산외국어대학교 (조교수)
- 제주대학교 (초빙교수)
- 배재대학교 (조교수)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강사)
- 경성대학교 (강사)
-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강사)
- KOTRA Vienna/Austria 독일어-한국어-영어 공식통역사/지억전문가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IMA) 객원연구원
- 부산교육연구정보원 고등학교 독일어 교재 심의원
주요논문 <<논문>>
- 2024: Reevaluation of the West German Red Cross Hospital (1954-59) in Busan; a milestone for the Korean diaspora in Germany.
- 2023: 해수에 대한 과학적 발견과 19세기 독일 제바데오르트(Seebadeort)의 활성화.
- 2022: 국내 온천의 의료적 활용에 관한 사업현황과 과제 - 보양온천과 온천 도시사업을 중심으로.
- 2021: 발트해를 통한 동독의 대외정책 : 1954/55-1972년을 중심으로.
- 2020: Deutsche Spuren im Dritten Sektor- Das bürgerliche Engagement des deutschen Priesters Anton Trauner in Busan nach dem Koreakrieg.
- 2020: 냉전시기 동서독 발트해 해상경계선 연구 : 열린 바다와 닫힌 바다.
- 2019: Das westdeutsche Rotkreuzhospital in Busan in den Jahren 1954-59.
- 2019: Baltic Memories of East Germans: Between 1952 and 1989, during the Cold War,
- 2018: Von der Flughafenseelsorge zur Flüchtlingsseelsorge in Deutschland Im Brennpunkt: Das Flughafenverfahren am Flughafen Frankfurt/Main(FRA). 외 다수

<<단독저서>>
2016, Plurizentrisches Deutsch in der EU: Seine Rolle in den ökonomischen und kulturellen Beziehungen zu Drittstaaten am Beispiel von Südkorea, Akademiker Verlag

<<공동저서>>
2024, Beyond Standardization? The 2022 DIN Spelling Reform in Germany: Navigating Fascist Legacy and Pluricentric Realities in Germany and Austria in "Pluricentric Languages in Africa and in Other Regions of the World" , PCL-PRESS (Graz)
2024, "Sie haben uns im Herzen Mut gegeben", AVM.edition
2023, 미지의 다양성, 선인

+-

미샤엘라 아우어(Michaela Auer) 초빙교수

  • 세부전공
  • 연구실인문대학 2호관 1319
  • 전화/국제전화754-2749/82-64-754-2749
  • 이메일auerela@jejunu.ac.kr
  • 홈페이지https://ifdk.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주요경력
주요논문

+-

조현천(Cho,Hyun-Chon) 명예교수

  • 세부전공

    독문학(German Literature)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
  • 이메일cho3624@jejunu.ac.kr
  • 홈페이지https://ifdk.jejunu.ac.kr/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학사)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석사)
독일 카셀 대학교 독어독문학과(박사)

주요경력

부산대, 동의대, 한국해양대 등 강사
한국해양대학교 HK 교수
제주대학교 독일학과 교수

주요논문

1. 쇼펜하우어와 토마스 베른하르트 Ⅰ
2. 이중구속 이론으로 현대 사회 읽기
- 엘프리데 옐리넥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3. 유럽의 극우주의와 나치 홀로코스트 문학

+-